리전(Region),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리전(Region): 가용영역이 2개 이상 구성된 지리적 영역
가용영역의 일종의 클러스터처럼 묶여있으며 많은 서비스들이 리전을 기반으로 해서 제공된다. 리전 내의 가용영역 간에는 높은 대역폭과 지연 시간이 매우 짧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고가용성은 물론 빠른 서비스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리전이나 가용영역은 AWS(아마존 웹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다른 클라우드 사업자(Azure, GCP, OCI) 등의 다른 클라우드 사업자에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1개 이상의 물리 데이터센터를 묶은 논리적인 데이터센터
1개의 데이터센터일 수도 있고, 2개의 데이터 센터를 묶어놓은 것일 수도 있으나, 개념적으로 하나의 데이터센터라고 이해하면 된다.
가용영역 간에는 독립적인 전원, 냉온습, 물리적 보안 등의 시설을 갖추게 되며,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센터에 물리적인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가용영역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Location(로케이션): 엣지 로케이션 혹은 로케이션이라고 불린다. 클라우드 사업자에서 제공하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나 DNS(Domain Name Server)와 같은 글로벌 서비스에 대해서 사용하는 일종의 글로벌 POP(Point of Presence)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리전이 없는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이러한 로케이션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aouidc&logNo=220960518662
https://ko.wikipedia.org/wiki/%ED%81%B4%EB%9D%BC%EC%9A%B0%EB%93%9C_%EC%BB%B4%ED%93%A8%ED%8C%85
https://zigispace.net/1116
https://guide.ncloud-docs.com/beta/docs/environment-environment-1-1
https://it.donga.com/24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