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타임시에 클래스 정보를 확인해서 그 클래스의 메소드, 타입, 변수들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바 API
사용자가 직접 활용할 일은 잘 없지만 IDE의 자동완성,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어노테이션 같은 기능이 사용되는 예이다.
설계할 때는 어떤 타입의 클래스인지 모르지만 실행 시점에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바의 리플렉션
java reflection를 이해하시나요? | Java Reflection API를 이해하시나요? 리플렉션이란 개념은 초보 자바 개발자에게는 생소한 개념이고, 이해하기 힘든 개념인 것 같습니다. 일단 저에겐 그랬습니다. 그
brunch.co.kr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수 함수란? (0) | 2022.08.12 |
---|---|
람다식(Lambda Expression), 람다란(Lambda)? (0) | 2022.08.12 |
직렬화 (0) | 2021.06.12 |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 (0) | 2021.06.11 |
try-with-resources (1) | 2021.06.08 |